
Y700이나 샤오신 패드 같은 레노버의 태블릿 시리즈들이 뛰어난 가성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레노버의 여러 태블릿들을 가지고 있고 수년간 써 왔는데 좋은 가성비에 비해 아쉬운 점 2가지가 있을 수 밖에는 없었어요.
첫번째로 글로벌 버전이 없어서 한글화나 반글화를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제품 자체를 알리익스프레스나 해외구매대행으로 구매하다보니, 중국내수롬 버전을 사용하게 되어 한글화를 진행했는데 한글화가 번거롭기도 하지만 사용하지도 않는 중국앱들을 강제적으로 보게되서 뭔가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더불어 업데이트를 하게 되면 한글화가 풀리는 경우가 많아서 업데이트에도 자유롭지 못했어요.
두번째로 4G LTE 기능이 없어서 유심카드를 삽입해서 와이파이 연결없이는 태블릿을 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요. 저는 이 LTE 기능을 사용하진 않지만 많은 유저들이 태블릿을 구매하면 고려할만한 요소일 수 있겠죠?


제가 오늘 리뷰할 레노버의 이 K10 Pro 제품은 이 두가지 단점을 모두 제거한 제품으로 글로벌 버전으로 한글을 바로 사용할 수 있고 유심을 삽입해서 LTE기능으로 외부에서도 와이파이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한글화 필요없음 + 유심장착 LTE 기능
🟥 1. 언박싱과 디자인


레노버의 태블릿은 실제 제품은 디자인이 괜찮은데 포장은 중국내수용의 경우 좀 색다르면서도 살짝 촌스러운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K10 Pro의 경우 블루와 화이트로 훨씬 개선된? 포장을 가지고 있네요.
포장을 열면 제품과 매뉴얼 충전기 그리고 추가적으로 LTE 기능을 위한 유심장착용 바늘이 들어있어요. 충전기는 유럽형이 아닌 미국형이 들어있어서 돼지코를 이용해서 사용해야합니다.

디자인은 레노버 태블릿의 전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요. 레노버 P11이나 P12와 흡사하게 생겼어요. 샤오신패드 2024와도 비슷한데 샤오신패드 2024의 경우 카메라 부분이 레드미 패드와 더 비슷한 것 같아요. 아마 P12의 하우징을 그대로 쓴 것 같네요.


상단 오른쪽에는 4G LTE 기능을 위한 유심카드를 넣을 수 있는 슬롯이 있어요. 유심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 SD 카드를 넣어서 저장공간을 더 확보할 수도 있어요. 돌비에트모스를 지원하는 4개의 스피커로 제법 웅장한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어요.
더불어 3.5mm의 헤드폰 단자가 있어서 유선헤드폰을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네요. 요즘 대부분의 태블릿에는 헤드폰 단자가 없는 경우가 많아요.
🟥 2. 한글 바로 사용가능?

저는 레노버 P11, P12 그리고 샤오신패드 2024와 같은 가성비 태블릿의 문제점인 한글화 (반글화) 과정이 정말 필요없는지 우선적으로 가장 궁금했어요. 중국 현지화 버전(중국 내수롬)이 저렴한 가격으로 태블릿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한글화 과정이 생각보다 번거롭고 추후 업데이트에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기에 더 그랬습니다.
레노버 K10 Pro LTE 태블릿은 우선 전원을 켜면 언어설정 부분이 있는데요, 여기서 바로 ‘한국어’로 설정을 해줍니다. 그러면 바로 ‘안녕하세요’라는 한국 인사말이 나오고 간단한 설정을 할 수 있어요.
중국 내수롬을 사용할 때는 영어로 설정하고 다시 한글화를 해왔는데
그 과정이 전혀 필요없습니다!


간단한 설정을 마치면 바탕화면이 나오는데 몇몇 한글이 보이고 유튜브와 플레이 스토어등 웬만한 구글의 앱들과 넷플릭스까지 다 깔려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중국내수용 롬의 태블릿 경우에는 플레이 스토어와 구글은 물론이고 앱들이 아예 안깔려 있어서 불편했는데 여러모로 편리합니다.
한글이 기본적으로 지원되고 한글로 바로 타입할 수 있는게 이렇게 편하고 쾌적할 줄은 몰랐네요!
🟥 3. 디스플레이와 성능

안드로이드 버전 13기반으로 작동되는 레노버 K10 Pro LTE 태블릿은 레노버 P12와 거의 같은 성능을 지니고 있어요. 2,000X1200의 FHD 해상도에 400니트의 밝기로 실내에서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스냅드래곤 680 프로세서에 6GB의 램, 128GB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을 가지고 있는 제품으로 안드로이드 13기반으로 작동입니다. 원래 중국내수롬 태블릿은 ZUI라는 운영체재를 안드로이드 OS안에 사용했는데, K10 Pro의 경우 안드로이드 OS를 그대로 사용해서 가벼워진 느낌이 좀 있어요.

또한 시스템 업데이트로부터 자유로워서 시스템을 새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해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4. 실사용기

우선 크롬 브라우저를 뛰우면 구글이 나오는데 뉴스들이 생각보다 빠르게 나타나는 걸 알 수 있네요. 네이버도 사용해봤는데 제법 쾌적한 스피드로 사용할 수 있어서 우선 합격!

그리고 유튜브를 플레이해 보았는데요, 기본 화질인 720P는 물론이고 1080P에서도 쾌적하게 잘 플레이되었습니다. P12와 하드웨어 사양이 비슷한데 아무래도 중국내수롬인 ZUI 운영체재를 내부에 사용하지않아서 퍼포먼스가 더 좋아진 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리고 넷플릭스를 사용해 보았는데요, 기존의 글로벌롬 레노버 태블릿은 와이드바인 L1을 지원하지 않아서 FHD 영상을 플레이하지 못했는데 (중국내수롬을 사용했던 이유 중 하나) K10 Pro는 와이드바인 L1을 확실히 지원해서 넷플릭스를 FHD로 온전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게임도 좀 해 보았는데요, 사양이 높지않은 게임의 경우에는 랙 없이 잘 플레이 됩니다. 하지만 사양이 높은 게임의 경우는 프로세서의 등급상 랙이 생길 수 밖에는 없지요.
레노버의 태블릿 답게 돌비에트모스를 지원하는 4개의 스피커에서 나오는 사운드도 괜찮아서, 게임과 영상 플레이시 박진감 넘치는 음악과 사운드를 즐길 수 있어요.
🟥 5. 4G LTE 기능

K10 Pro의 장점 중 하나는 유심칩을 삽입하면 4G 네트워크로 LT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와이파이 연결없이도 외부에서 태블릿으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통화도 할 수 있어요. 또한 이 기능으로 태블릿을 자동차용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지요.
저는 태블릿에 사용할 유심칩이 없어서 이 기능을 사용하진 않았지만, 보통 사용하는 LTE 휴대폰과 동일하게 작동하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하실 겁니다. 바탕하면을 보면 ‘SIM 카도 없음 -긴급 통화한 허용- 이라고 되어 있는데 휴대폰에서 유심카드가 삽입되기전 보게되는 익숙한 알림이죠?
유심카드를 유심슬롯에 장착하게 되면,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서 모바일 네트워크가 활성되게 되고 그 이 후로는 LTE 휴대폰처럼 통화기능과 데이터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SKT, KT, U플러스 등의 통신사에서는 태블릿을 위한 LTE 통신요금제가 있으니 필요하시면 사용하시면 될것 같네요.
▪️레노버 K10 Pro LTE의 결론과 장단점▪️
레노버의 태블릿들은 가성비가 좋은 반면에 한글화를 해야한다는 단점, 더불어 업데이트가 자유롭지 않아서 만일 실수로 업데이트라도 하게되면 한글화가 풀리거나 심지어는 태블릿이 벽돌이 되는등의 단점이 있었는데, 이 레노버 K10 Pro는 글로벌롬으로 한글을 바로 쓸 수 있고 업데이트에서 자유로워서 아주 좋았습니다.
또한 유심을 장착해서 4G 네트워크로 사용할 수 있어서 와이파이 연결에 구애받지 않거나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쓸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인터넷 검색이나 영상용이나 간단한 게임용 그리고 네비게이션용으로 구매하시면 후회하지않을 제품이네요. 1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으니 유닉에서 자신있게 추천합니다!
